겸재 정선

Home>겸재 정선>연표

연보
1676년
(丙辰, 숙종2)
1세 ● 1월 3일 북부 순화방 창의리 유란동에서 태어나다.
(현 청운동 89 일대, 현재 경복고등학교 자리)
1689년
(己巳, 숙종15)
14세 ● 1월 3일 부친 정시익鄭時翊이 51세의 나이로 사망하다.
●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고, 김창흡은 부친 김수항이 사사賜死되자 영평 백운산 곡운谷雲으로 낙향하다.
1694년
(甲戌, 숙종20)
19세 ● 4월 1일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다.
● 9월 25일 외조부 박자진朴自振이 70세의 나이로 사망하다.
1695년
(己亥, 숙종21)
20세 ● 4월 5일 김창집이 48세의 나이에 대사간大司諫에 오르다.
1702년
(壬午,숙종28)
27세 ● 이 무렵 연안延安 송씨宋氏와 결혼하다.
1704년
(甲申, 숙종30)
29세 ● 장남 만교萬喬가 태어나다.
1706년
(丙戌, 숙종32)
31세 ● 2월 3일 김창집이 59세에 우의정右議政에 오르다.
1707년
(丁亥, 숙종33)
32세 ● 1월 12일 김창집이 60세에 좌의정左議政에 오르다.
1708년
(戊子, 숙종34)
33세 ● 김창협이 58세를 일기로 사망하다.
1710년
(庚寅, 숙종36)
35세 ● 차남 만수萬遂가 태어나다.
1711년
(辛卯, 숙종37)
36세 ● 8월 김창흡, 이병연 등과 금강산을 유람하다.
● 《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岳圖帖》 (국립중앙박물관)을 그리다.
1712년
(壬辰, 숙종38)
37세 ● 8월 이병연이 금화현감金化縣監으로 재직 시 아버지(이속李涑), 형(이병성李秉成)과 정선을 초청하여 금강산을 유람하고, 《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》을 그려 화명을 떨치다. ( 『순암집順庵集』)
1713년
(癸巳, 숙종39)
38세 ● 김창흡이 이병연의 요청으로 정선의 《해악전신첩》에 제시題詩를 쓰다. ( 『삼연집三淵集』)
1714년
(甲午, 숙종40)
39세 ● 3월 이하곤이 정선의 그림을 보고 윤두서만 못 하다고 평하다.
● 이 무렵 정선, 첫 벼슬에 오르다.
1715년
(乙未, 숙종41)
40세 ● 여름에 이하곤이 정선의 <망천저도輞川渚圖>에 제를 쓰다.(『두타초頭陀草』)
● 이하곤이 이병연이 소장하고 있는 정선의 《해악전신첩》에 대해 글을 쓰다. (『두타초』)
1716년
(丙申, 숙종42)
41세 ● 3월 관상감觀象監의 겸교수兼敎授가 되다.
● <회방연도回榜宴圖>(개인소장)를 그리다.
1718년
(戊戌, 숙종44)
43세 ● 윤 6월 조지서造紙署 별제別提(종6품)가 되다.
1719년
(己亥, 숙종45)
44세 ● 10월 8일 이하곤의 집에서 《사계산수도첩四季山水圖帖》 (호림박물관)을 그리고, 이하곤이 제를 쓰다.
● 김시보에게 <금강산도金剛山圖>를 그려주다. (『모주집茅州集』 )
1720년
(更子, 숙종46)
45세 ● 2월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(종6품)을 지내다.
1721년
(辛丑, 경종1)
46세 ● 1월 지금의 경상도 대구 근처인 하양현감河陽縣監 (종6품)에 부임되다. ( 『읍지邑誌』 )
● 이에 이하곤이 전별시를 쓰다.( 『두타초』 )
● 김창업이 64세를 일기로 사망하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