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738년
(戊午, 영조14) |
63세 |
● 5월, 김시매에게 <만폭동도萬瀑洞圖>를 그려주다. ( 『 동포집』 ) ● 11월에 차남 만수와 조영석의 집을 방문하고, 방문 뒤편에
<절강추도도浙江秋濤圖>를 그리다. ( 『관아재고』 ) ● 가을, 최영숙에게 《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》(간송미술관) 11폭을
그려주다. ● <정자연도亭子淵圖>(간송미술관)를 그리다. |
 |
1739년
(己未, 영조15) |
64세 |
● 4월에 조연명, 이병연 등 이춘제의 옥류동에서 모인 시회詩會를
기념하여 <옥동척강도玉洞陟崗圖〉(개인소장)를 그리다. ● 5월 부사과副司果(종6품)에 제수되다. ● 봄, 〈청풍계도淸風溪圖〉 (간송미술관)와 〈육상묘도毓祥廟圖
〉
(개인소장)를 그리다. |
1740년
(庚申, 영조16) |
65세 |
● 윤 6월, 이춘제의 서원에서 이병연, 조연명 등과의 아회雅會를
기념하여 〈서원소정도西園小亭圖〉(개인소장)와 〈한양전경도漢陽全
景圖〉(모암문고)를 제작하다.
● 12월 훈련도감訓鍊都監 낭청郞聽에서 양천현령陽川縣令(종5품)으로
부임하다.(~1745년 정월까지 재직) |
1741년
(辛酉, 영조17) |
66세 |
● 봄, 이병연과의 시화詩畵를 교류하면서 그렸던 《경교명승첩京郊名
勝帖》(1740~1741년 사이 대부분 그려짐, 간송미술관)을 완성
하다. |
1742년
(壬戌, 영조18) |
67세 |
● 10월, 경기감사京畿監司 홍경보, 연천현감蓮川縣監 신유한 등과
선유船遊한 기념으로 《연강임술첩漣江壬戌帖》(개인소장)을 그리다. |
1744년
(甲子, 영조20) |
69세 |
● 여항문인 마성린이 정선 문하門下에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다.
( 『안화당사집安和堂私集』 ) |
1745년
(乙丑, 영조21) |
70세 |
● 1월 양천현령직을 그만 두고 인왕곡으로 귀가하다. ● 이 무렵, 《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》(국립중앙박물관)을 그리다. |
1746년
(丙寅, 영조22) |
71세 |
● 《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》(모암문고)에 <계상정거도溪上
靜居圖>, <무봉산중도無鳳山中圖>, <풍계유택도楓溪遺宅圖>, <인곡정
사도仁谷精舍圖>를 그려 넣었으며, 여기에 아들 정만교가 제발을,
이병연이 시문을 쓰다. |
1747년
(丁卯, 영조23) |
72세 |
● 1월 1일 아우 검약재儉約齋 정유鄭柔攵가 66세를 일기로
사망하다. ● 봄에 금강산을 유람하고 《해악전신첩海岳傳神帖》(간송미술관)
21폭을 제작하다. |
1748년
(戌辰, 영조24) |
73세 |
● 7월에 위수衛率(종6품)에 오르다. |
1749년
(己巳, 영조25) |
74세 |
● 《사공도시품첩司空圖詩品帖》(국립중앙박물관)을 제작하다. |
1751년
(辛未, 영조27) |
76세 |
● 윤 5월 29일 벗 이병연이 81세를 일기로 사망하다.
● 윤 5월 〈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〉 (리움)를 그리다.
● 《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》하권下卷을 보충해서 제작하다. |
1752년
(壬申, 영조28) |
77세 |
● <호남장거도湖南莊居圖>를 그리고 남유용에게 제를 청하다.
(『뇌연집雷淵集』 )
● 〈우중기려도雨中騎驢圖〉 (평양박물관)를 그리다.
● 11월에 장흥고長興庫 주부主簿(종6품)에 오르다. |
1753년
(癸酉, 영조29) |
78세 |
● 9월에 헌릉령獻陵令(종4품)에 오르다. |
1754년
(甲戌, 영조30) |
79세 |
● 2월 사옹원司饔院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(종4품)에 오르다.
● 4월 정선이 첨정僉正(종4품)에 오르자 정술조 등이 천기賤技로
이름을 얻고 잡로雜路로 발신拔身한 것이 종전의 복역으로도 과분
하니 높은 벼슬을 제수함은 부당하다고 진언했으나 왕이 듣지
아니하다. ( 『실록』, 『승정원일기』)
● 겨울 박윤원이 정선의 문하에서 주역을 배우다.
● 마성린이 정선 문하에서 수응酬應이 너무 심해 절필 해버리다.
(『안화당사집』 ) |
1755년
(乙亥, 영조31) |
80세 |
● 박대원에게 화첩을 그려주다.(『송호집松湖集』)
● 왕실의 수경壽慶을 맞아 다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(종3품)에
오르다.
● 8월 <사문탈사도寺門脫蓑圖>(간송미술관)를 그리다. |
1756년
(丙子, 영조32) |
81세 |
● 왕대비 칠순으로 다시 승직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
同知中樞府事(종2품)에 제수되다. |
1757년
(丁丑, 영조33) |
82세 |
● 신민복에게 선면扇面 <도원도桃園圖>를 그려주다.
( 『학산한언鶴山閑言』 )
● <청송당도聽松堂圖>(국립중앙박물관)를 그리다. |
1759년
(己卯, 영조35) |
84세 |
● 3월 24일 84세를 일기로 정선 사망하다. 양주 해등촌면 계성리
(현 도봉구 쌍문동) 안장.
● 조영석이 애사哀辭를 쓰다. ( 『 관아재고』 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