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영역 바로가기
본문 바로가기
하단 바로가기
미술관소개
인사말
겸재정선미술관
미술관 종합안내
찾아오시는길
강서구관광
유물기증
대관문의
겸재정선
겸재정선 소개
겸재정선의 생애
겸재정선과 강서구
겸재정선의 작품세계
전시/유물
소장유물
아트뮤지엄
교육프로그램
어린이 프로그램 안내/신청
어린이 프로그램 접수확인
성인 프로그램 안내/신청
성인 프로그램 접수확인
문화상품
문화상품안내/판매
겸재예술인문통신
명사석학 인문학강좌
미술사 특강
겸재와 시대예감 컬럼
열린마당
공지사항
보도자료
FAQ
1:1문의
포토갤러리
자료실
관련사이트
행사일정
전시/유물
소장유물
아트뮤지엄
소장유물
Gyeomjae Jeongseon Art Museum
Home > 전시/유물 >
소장유물
겸재정선의 소장유물 게시판 목록표 입니다. 사진,제목,내용,자세히보기버튼으로 표시 됩니다.
모화관도(慕華館圖)
작가모름 作家未詳 조선 朝鮮 18세기 후반 비단에 먹 絹本水墨, 30.5×51.0cm 오늘날 서울의 서대문 근처에 있던 모화관(慕華館)과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안산과 인왕산, 홍제동 고갯길을 그렸다. 모화관은 ..
자세히보기
송주굴도(松株窟圖)
정충엽 鄭忠燁(1725-1800 이후) 조선 朝鮮 18세기 비단에 색 絹本彩色 23.5×30.5cm 그림의 오른쪽 상단에 ‘松株窟(송주굴)’이라고 화제가 적혀 있으나 어느 곳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. 그러나 김홍도, 김하종 등..
자세히보기
장안사도(長安寺圖)
작가미상 作家未詳 조선 朝鮮 18세기 종이에 엷은 색 紙本淡彩 61.0×31.0cm 장안사는 금강산 최초 입구인 장안동에 위치한 사찰로 표훈사, 정양사와 함께 금강내산에서 가장 유명한 3대 사찰 중 하나이다. 내금..
자세히보기
청류 이의성이 그린 〈해산도〉 사진모음 (靑..
이의성 李義聲(1775-1883) 조선 朝鮮 19세기 26.0×35.0cm 20세기 중반 이의성의 금강산 화첩을 인화하여 화첩과 같은 형태로 만든 것으로, 원본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이의성과 19세기 전반 금강산 그림의 한 전..
자세히보기
평사낙안도(平沙落雁圖) 모래톱에 내려앉는 ..
정수영 鄭遂榮(1743-1831) 조선 朝鮮 18세기 종이에 엷은 색 紙本淡彩 47×33cm 소상팔경도 중 ‘평사낙안’ 장면을 그린 것으로, 소상팔경도는 중국 양자강 하류의 소강과 상강이 합쳐지는 곳의 경치를 여덟 장면..
자세히보기
소림모정도(疏林茅亭圖)
이의성 李義聲(1775-1883) 조선 朝鮮 19세기 종이에 수묵 紙本水墨 34.0×31.5cm 산과 강이 어우러진 강안(江岸)에 자리한 띠풀 지붕의 정자를 그렸다. 한림소경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, 그림의 상단에는 ..
자세히보기
풍고집(楓皐集)
김조순 金祖淳(1765-1832) 조선 朝鮮 1868년 32.5×20.5cm 16권 8책 / 활자본(정리자 整理字) 김조순의 시문집으로, 1868년(고종 5) 안동김씨 문중에서 간행하였다. 김조순의 자는 사원(士源), 호는 풍고(楓皐), 시호는..
자세히보기
운와집(雲窩集)
홍중성 洪重聖(1668-1735) 조선 朝鮮 1784년 30.0×18.0cm 6권 3책 / 활자본(운각인서체자 芸閣印書體字) 홍중성의 시문집으로 손자 양활이 편집하여 명호가 1784년(정조 8)에 간행했다. 홍중성의 자는 군칙(君則), ..
자세히보기
이전
1
2
3
4
5
6
7
다음